sony korea 방송장비 부문 B&P 사업부에서는 HD의 4배 해상도를 표현하는 30인치 4K LCD 모니터 PVM-X300과 4K 엑스모어(Exmor) 슈퍼 35mm CMOS 센서를 탑재한 NEX-FS700 캠코더에 장착 시 4K RAW 레코딩을 지원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 유닛 HXR-IFR5를 출시 한다고 밝혔다. 4K 모니터 PVM-X300은 소니 트라이마스터(TRIMASTER™) 기술이 적용되어 4K에 요구되는 뛰어난 색상과 화질을 재현하여 이상적인 4K 영화 제작 및 4K 라이브 제작 및 실시간 4K 제작물 시연 등을 지원한다. 또한 가벼워진 무게로 이동성을 강화하고 초점 문제를 해결해 촬영 현장에서 4K 영상 제작의 편의성은 물론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라이브 제작, 다큐멘터리, 비즈니스 및 산업 응용 프로그램까지 4K 제작 확장이 가능해졌다. PVM-X300은 RGB 10 비트 패널을 사용하여 균일한 제어를 통해 정확하게 ITU-R BT.709 규정인 업계 표준 색 공간 표시가 가능하며, IPS (평면 스위칭 기술)을 사용하여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여 다수의 4K 영상 장비에 연결하여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드를 지원하며, 자동 화이트 조정을 포함하고 카메라 기능(색 포커스, 줌) 및 스테레오 오디오(스테레오 스피커, 라인 아웃, 헤드폰 잭)와 HDMI 케이블로 4,096x2,160/24p과 3,840x2,160/24,25,30P를 지원한다. 또한 PVM-X300은 소니의 새로운 F55 4K 카메라 시스템과 연결 시 하나의 HDMI 케이블로 4096x2160/60p의 비디오 신호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4K SxS 플레이어를 통해 4K 콘텐츠를 쉽게 재생 가능하며, XAVC 4K 및 XAVC HD 의 높은 프레임 기록 속도를 지원하는 신제품 SxS PRO+ 고속 메모리 미디어로 4K 카메라의 이미지 및 4K 프로그램 소스를 플레이어에 삽입하여 바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4K 모니터 PVM-X300은 2013년 5월 출시 예정이며, 4K SxS 플레이어는 2013년 봄에 발매 예정이다. HXR-IFR5 인터페이스 유닛은 4K 엑스모어(Exmor) 슈퍼 35mm CMOS 센서를 탑재한 NEX-FS700 캠코더에서 출력되는 4K RAW 데이터를 전송하여 외장 레코더 AXS-R5의 액세스 메모리 카드에 기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비이다. NEX-FS700 카메라는 3G HD-SDI를 통해 4K 비트 스트림 데이터 출력을 지원하는데, 3G HD-SDI 입력을 지원하는 HXR-IFR5를 장착하면 4K RAW 데이터를 전송하여 AXS-R5 레코더의 액세스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NEX-FS700의 4K RAW 포맷 출력은 1,160만 화소(4,096X2,160) 해상도이며, 프레임 레이트 23.98p, 25p, 29.97p, 50p와 59.94p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메모리 카드로 4K RAW 데이터를 기록하며, 기록 후 워크 플로우는 소니의 새로운 씨네알타 4K 카메라 PMW-F5와 동일하게 지원한다. sony korea 관계자는 “4K 모니터 PVM-X300은 촬영 현장에서 콘텐츠 제작 시 더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제한적인 모니터링에 대한 걱정을 해소하며, 영상 제작에 있어서 새로운 창조적인 방법을 제안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4K 액세서리 HXR-IFR5를 통해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NEX-FS700 카메라로 촬영 시 4K RAW 제작을 지원할 수 있어 보다 발전된 4K 제작 기회를 선사할 것이다.”고 밝혔다. HXR-IFR5 및 NEX-FS700 펌웨어 업그레이드는 2013년 6월 중 제공 예정. -보도자료

 

canon은 EF 70-300mm F4-5.6 IS USM 렌즈의 가격을 9만 2,400엔 에서 7만 1,400엔으로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동일 초점거리를 지원하는 고급 렌즈 EF 70-300mm F4-5.6 L IS USM의 출시에 따라 가격을 조정한 것이다. 한편 EF 70-300mm F4-5.6 IS USM는 2005년 10월 출시된 렌즈로, 35mm 규격의 필름 및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 70-300mm에 이르는 장망원 초점거리 지원과 약 3스탑의 손 떨림 보정 기능을 채용했다

 

sony 방송장비 부문 B&P 사업부에서는 4K 영상 제작 솔루션을 확장하는 4K 슈퍼 35mm 이미지 센서를 탑재한 씨네알타(CineAlta™) 4K 카메라 신제품 PMW-F55 및 PMW-F5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씨네알타(CineAlta™) 카메라 PMW-F55와 PMW-F5는 HD, 2K 및 4K 촬영을 모두 지원하여 창의적인 컨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PMW-55는 글로벌 셔터 메커니즘을 적용한 모델로, CMOS 센서가 취약한 롤링셔터나 플래시밴드 현상을 제거하여 촬영 시 왜곡을 줄였으며, 기존 F65 4K 카메라와 동일한 색 영역을 적용하여 색 재현력을 극대화하였다. 두 제품은 콤팩트한 모듈 형식으로 설계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촬영 전 필요 액세서리 부착 및 설정이 용이하며, 소니에서 새롭게 개발한 4K 슈퍼 35mm 이미지 센서가 탑재 되어 1,160만 화소(4,092 x 2,160)의 풍부한 해상도를 구현한다. 두 제품은 기록 코덱으로 기존 SR 코덱 (MPEG-4 SStP) 및 XDCAM 50Mbps 4:2:2 코덱을 사용하며, 4K 및 고품질 영상 제작을 위해 새로운 소니의 XAVC MPEG-4 AVC/H.264 포맷도 탑재될 예정이다. PMW-F55는 HD/2K/QFHD/4K(XAVC 포맷) 촬영을, PMW-F5의 경우 기본 2K/HD 포맷을 지원한다. 두 제품 모두 외장 레코더 AXS-R5 장착 시 4K RAW 포맷까지 기록할 수 있다. 캠코더 저장 미디어인 소니의 ‘SxS PRO Plus’ 사용 시, PMW-F55는 4K 60p 4:2:2 10-bit XAVC 및 HD 4:2:2 10-bit XAVC의 고속프레임 촬영이 가능하며, PMW-F5는 HD XAVC 및 HD 고속프레임 촬영을 지원한다. 여기에 4K 모니터링을 위한 4K 30인치 LCD 모니터링 신제품 PVM-X300이 출시될 예정으로, 3G-SDI 인터페이스를 탑재하여 4,096 x 2,160 해상도의 최대 60p까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시네마에 주로 활용되면서 RAW 워크플로우에도 적용 가능한 새로운 RAW 외장 레코더 AXS-R5도 함께 선보일 예정으로, PMW-F55 및 PMW-F5에 장착 시, 새로 개발된 AXS 메모리 카드 미디어에 4K/2K RAW파일 및 최대 240fps (PMW-F55)와 120fps (PMW-F5)의 슈퍼 슬로우 모션 영상이 기록된다. 이와 함께 촬영 현장에서 사용자 편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촬영 액세서리도 공개하였다. 4K 촬영에 적합하도록 새롭게 설계된 소니의 2세대 PL 렌즈 라인업은, 20mm, 25mm, 35mm, 50mm, 85mm 및 135mm의 총 6개 렌즈 패키지로 구성될 예정이다. 또한 4K 촬영에서 현장 포커싱과 모니터링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0.7인치 OLED 뷰파인더 DVF-EL100과 해상도를 더욱 강화한 3.5인치 및 7인치 뷰파인더를 통해 4K 현장 촬영에서 영상 모니터링의 신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PMW-F55 및 PMW-F5와 촬영 액세서리는 2013년 1월에 발매 예정으로, 60fps 이상의 고속 촬영은 향후 펌웨어 버전 업그레이드를 통해 지원 예정.

 

tamron은 9월 13일에 개발 발표한 렌즈 SP 70-200mm F2.8 Di VC USD 및 SP 90mm F2.8 Di MACRO 1:1 VC USDf를 발매했다.(일본) 캐논용으로 먼저 발매하며, 니콘용, 소니용(VC없음)은 차례차례 발매할 계획이다. SP 70-200mm F2.8 Di VC USD는, 35mm풀 사이즈에 대응한 망원 줌 렌즈. 손떨림 보정 기구와 초음파 모터를 채용했으며, 가격은 15만 7,500엔이다.
SP 90mm F2.8 Di MACRO 1:1 VC USD 역시, 35mm풀 사이즈 대응의 망원 매크로 렌즈로서. 등배 촬영에 대응하고 있다. 이 역시, 손떨림 보정 기구와 초음파 모터를 탑재했다. 가격은 9만 4,500엔이다.
 

 

MX는 오토포커스 및 조리개 조절이 가능한 E 마운트용 캐논 EOS (EF/Ef-s) 어댑터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가격은 US $298.80. Contax G와 니콘 G 어댑터는 2013년에 예정되어 있다고 한다.

 

panasonic은 마이크로포서즈카메라의 플래그쉽 모델 LUMIX DMC-GH3를 12월 13일에 발매한다.(일본) 기존 모델 GH2의 후속 제품으로 LUMIX G 시리즈로서는 첫 마그네슘 합금 바디에 방진방적성능을 채용하고 배터리 세로 그립을 갖추어 LUMIX G 시리즈의 최상위 라인업이 되었다. 센서는 신 Live MOS센서로 유효1,605만화소로 S/N비 향상, lowpass filter 신설계로 해상력을 더 높게 끌어내고 모아레 등을 최대한 저감 했다. 기본 감도는 ISO 200~ISO12800로서 확장 시는 ISO 125 ~ ISO25600로 가능해진다. 174만 화소 유기EL의 EVF, 액정 모니터는 3인치 약61.4만 화소의 프리 앵글식 유기EL의 정전식 터치 패널. 동영상은 AVCHD Progressive에 의한 풀HD의 60p기록(28Mbps)에 더하여, H.264형식 편집 전용의 ALL-Intra기록에도 대응하여 60p,30p,24p로 최고 72Mbps의 기록을 지원한다.또한, 타임 코드에도 대응하며, 방열에 배려한 설계로서 시간 제한 없이 연속 촬영이 가능하다. 파일 용량 제한에 대해서는 자동으로 복수 파일을 생성해 대응하고, 헤드폰과 마이크 단자도 갖춘다. 더불어 무선 LAN기능을 내장, 스마트폰 등에서 라이브 뷰 원격 조작으로 조리개 조절, 터치 포커스, 줌 조작이 가능하다. 촬영 데이터를 스마트폰 등에도 전송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의 GPS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에 위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배터리는 신형 리튬 이온 충전지 DMW-BLF19로서 촬영 가능 매수는 약540매(LUMIX G X VARIO 12-35mm F2.8 ASPH. POWER O.I.S.사용시). 메모리는 SDXC/SDHC/SD 메모리 카드 사용에 UHS-I에도 대응한다. 크기는 132.9×93.4×82mm로 DMC-GH2에 비해, 폭8.9mm, 높이3.8mm, 깊이6.2mm 정도가 커졌다. 바디 만의 중량은 470g로서 DMC-GH2보다 78g 증가했다

 

olympus가 미러리스 전용 고성능 렌즈 2종을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야외 촬영에 최적화된 접사렌즈 ‘M.ZUIKO 디지털 ED 60mm F2.8 매크로’와 ▲작년에 출시된 광각렌즈 ‘M.ZUIKO 디지털 ED 12mm F2.0’의 한정판 블랙 에디션이다. M.ZUIKO 디지털 ED 60mm F2.8 매크로’는 최단 촬영거리 0.19m, 1:1 등배율 지원 등 뛰어난 촬영 성능을 자랑해, 꽃, 곤충 등의 근접촬영에 최적화된 렌즈다. 또한, 물방울과 먼지를 막아주는 방진・방적 구조를 채택해, 마찬가지로 방진・방적 기능을 탑재한 올림푸스의 미러리스 카메라 OM-D 등에 장착할 시 궂은 날씨에도 야외에서의 촬영이 용이하다. ED 렌즈, HR(초 굴절률) 렌즈, E-HR 렌즈 등 10군 13매의 다양한 특수소재 렌즈 구성을 통해 색수차를 완벽히 보정하고, 촬영된 사진의 모서리까지 높은 선명도의 뛰어난 화질을 구현해준다. 또한 올림푸스 고유의 MSC 방식을 통해 AF 속도를 높였고, 초점을 맞추는 과정에서의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AF를 사용해도 전체 렌즈 길이의 변화가 없는 이너 줌 방식이기 때문에 조작이 편리하며 동시에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세계 최초의 5축 손떨림 방지 시스템을 적용한 OM-D와 함께 사용하면 뷰파인더나 후면 LCD에서 보이는 화상의 떨림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어 누구나 깨끗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번 제품은 근접촬영에 특화된 접사렌즈이지만, 인물 촬영에 적당한 화각대를 가지고 있어 뛰어난 아웃포커싱 성능을 지녔다는 점, 그리고 컴팩트한 디자인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출시된다는 점에서 가족 사진과 연인 사진 등 인물 촬영을 즐기는 소비자들에게도 큰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접사렌즈의 경우 AF 속도가 상당히 느리다는 단점이 있지만 기존 접사렌즈와 비교할 때 매우 빠른 AF 속도를 가지고 있어 보다 쾌적한 촬영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미리 지정된 포커싱 범위를 선택해 보다 빠른 AF가 가능한 ‘포커스 리미트 스위치’ 기능, 촬영거리 및 배율 표시창 탑재 등을 통해 근접촬영 시 조작성과 정확성을 높였다.

olympus의 대표 광각 렌즈인 ‘M.ZUIKO 디지털 ED 12mm F2.0’은 한정판 블랙 에디션 킷으로 다시 태어났다. 클래식한 블랙 색상으로 새롭게 출시되면서 디자인의 고급스러움을 더했으며, 3가지 렌즈 액세서리를 함께 증정한다. 대형 조리개와 광각 단일 초점 거리를 가진 ‘M.ZUIKO 디지털 ED 12mm F2.0’은 심도가 깊기 때문에 작은 물체도 사실적이며 현실감이 넘치는 사진으로 찍을 수 있다. 전길이가 43mm에 지나지 않은 초소형 디자인임에도 고성능, 고화질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올림푸스 고유의 고해상도 소형화 렌즈인 이중 비구면 렌즈를 채용해 높은 굴절률과 보정효과를 제공하며, ZERO코팅 처리를 통해 고스트나 플레어를 억제해준다. 또한, 포커스링을 앞으로 슬라이드하면 원하는 거리에 포커스를 직접 설정할 수 있는 ‘스냅샷 포커스 기구’도 유용하다. 올림푸스한국 영상사업본부 이승원 본부장은 “최근 초고화질의 미러리스 카메라 PEN 2종을 새롭게 선보인 올림푸스는 고성능의 미러리스 전용 렌즈를 잇따라 출시하며 총 15종류의 전용 렌즈를 보유, 미러리스 시장을 적극 리딩하고 있다”며, “국내 최초 미러리스 카메라인 PEN을 출시한 선구자적 브랜드로서 앞으로도 카메라와 렌즈군을 더욱 확대하여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시장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메츠의 한국 공식 수입원인, 썬포토는 Metz의 신제품 mecablitz 52 AF-1 digital을 국내 출시했다. 2012년 9월 독일 포토키나에서 발표된 Metz mecablitz 52 AF-1 digital은 Metz 최초로 터치 스크린 LCD를 채용하여,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가이드 넘버 52의 플래시다. Metz mecablitz 52 AF-1 digital은 최적의 광량 컨트롤 기술로 완벽한 틸트, 스위블 촬영이 가능하고, TTL 무선 동조를 완벽히 지원. 내장형 리플렉터 카드와 광각 디퓨저 등을 통해 다양한 피사체를 완벽히 촬영할 수 있으며, 렌즈의 초점 거리가 반영된 정밀한 조사각 설정이 가능한 파워 줌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내장된 USB 포트를 통해 플래시의 호환성 개선 및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Metz mecablitz 52 AF-1 digital은 Canon, Nikon, Sony, Pentax, Olympus/Panasonic용 제품이 동시 발매 되며, 가격은 339,000원이다.

 

+ Recent posts